728x90

 

그림출처 : 인터넷검색

 

우리는 가끔 실수로 남의인생에 끼어드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어째서 남의인생에 끼어들어서는 안되는 것일까요? 일단 그것을 이야기하기전에 조언과 남의인생에 끼어들기를 정확히 구분하여야 합니다. 그래야 자신이 실수를 하고있는지 아니고 그사람에게 도움을 주고있는지를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조언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조언은 상대방이 어떠한 자신에 인생에 영향을 줄만한 것에대하여 다른사람에게 의견을 구하는것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현재 사귀는사람이 있는데 그사람과 결혼을 할지말지 고민을 하고있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결혼은 그사람의 인생에서 가장중요한 일중에 한가지 입니다. 그래서 그사람의 인생에 일정부분을 결정하는 문제입니다.


그러면 조언은 상대방의 이성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그사람의 장점은 이것이고, 그사람의 단점은 이것인것 같다"라는 정도만 하여주는것이 조언입니다. 즉, 결혼에대한 결정은 전적으로 상대방이 내리도록 하여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상대방의 인생에 끼어드는 행위는 무엇일까요? 상대방의 인생에 끼어드는 문제도 위에서 예를들듯이 결혼문제를 가지고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상대방이 자신이 사귀는 이성에 대하여 어떤지를 묻습니다. 그러면 상대방의 인생에 끼어드는 문제는 그이성에 대하여 자신이 판단하고 그대로 행하라는 압력을 행사하는 것입니다. 남의인생을 자신이 결정해 버리고 그대로 하라고 강요하는 행위입니다. 이것은 그사람의 인생을 다른사람이 결정해 버리는 것입니다.

 

예를들어서 부모님 입장에서 자식의 이성친구가 자식의 결혼상대자로 탐탁치 않아하였다고 생각해보면, 부모님들은 "난 이결혼반대한다"라고 이야기 할것입니다. 그것은 부모님으로서의 자세가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자식의일을 부모라는 사회적 지위를 이용하여 자식의 인생에 개입하는 바람직하지 못한행동입니다. 아무리 부모님이라도 자식의 인생에 개입하여 자식에 인생에 끼어들어서는 안됩니다. 보다 현명한 부모님이라면 "너의 이성친구는 이런점은 괜찮고, 저런점은 부족한것 같구나"라고 이야기 하여주고 부족한것을 고쳤으면 좋겠다고 조언을 해주는것이 어른의 올바른 행동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위의 부모자식간에만 남의인생에 개입하는것은 아닙니다. 상대방이 자신보다 못해보인다고 판단이 되어서 그사람의 인생에 개입하는 경우는 우리는 흔히들 많이 볼수가 있습니다. 주로일어나는 경우는 사회적 강자가 사회적 약자에게 억압적으로 억누르고 그로인하여 상대를 낮게볼때 주로많이 발생합니다.


남성들 보다는 여성분들이 자신의일에 대하여 주위에 조언을 많이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주위분들의 결정을 맹신적으로 추종하여 그대로 행동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정말로 생각해보아야 하는것은 자신의 인생을 결정할만한 중요한일은 남이아닌 자신의 인생에 영향을 줍니다. 그래서 다른사람에게 조언은 들을수 있지만 다른사람들이 자신의 결정에 끼어든다고 판단이 되시면 단호히 거부를 하시기 바랍니다.

 

그사람이 당신의 인생을 대신살아주지도 않을뿐더러 다른사람의 잘못된 결정으로 인하여 받는피해는 고스란히 당신에게 돌아옵니다. 그러한 피해를 받았을때 자신의인생에 끼어든사람은 모른척 눈감고 언제그랬냐는 태도를 취할것 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사람이 정말 착해서 책임져 준다고 하여도 그책임은 한정적일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잊지마셔야 하는것이 자신의일에대한 책임은 자신입니다. 그어떤 다른사람이 자신의 일에대하여 책임져주지 않습니다. 그러니 다른사람의말은 정말로 참고용으로만 듣고 결정은 자신이 하여야 한다는점을 절대로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