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그림출처 : 경향신문

 

일상을 살아가면서 부끄러운 행동을 하면서 살아가기도 합니다. 여기서 부끄러운 행동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지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부끄러움이 무엇인지 사전적인 의미를 알아보는것이 먼저일것 같습니다. 그러면 부끄러움이 무엇인지 사전에 의미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끄러움 : 양심에 거리낌이 있어 떳떳하지 못한 마음"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여기서 부끄러움은 양심과 연결시키면 정확히 부끄러움을 이해할수가 있을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양심은 무엇일가요? 양심은 자신이 정의로운 행동을 하지않을때 자신의 마음에서 잘못되었음을 알려주는 쉽게 생각해서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못한행동에 대한 제동을 걸어주는 안전장치로 생각하면 맞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부끄러운 행동을 하였을때 남들은 알지못하지만 자기자신의 양심에는 그행동의 잘못된점을 알고서 넘어가는 것입니다.


그것도 자기자신이 올바르다고 자위를 하면서 말입니다. 그렇게 자신을 합리화를 시키고 넘어가는 행동을 하면서도 자신의 양심에 어느정도 걸리기 때문에 그냥넘어가지 않고 그행동에 대하여 합리화를 위해 자신은 자신에게, 혹은 다른사람이 듣는자리에서 그행동을 할수밖에 없는 정당성의 말을 하고서는 그상황을 모면합니다. 그래서 어느사람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대화중에 대화와 상관없는 이야기를 하는경우가 가끔있는데 그것이 그러한 상황모면의 행동이 되겠습니다.


그런데, 잘생각 해보면 부끄러운 행동이 남에게 발각이 되었을때는 어떨까요? 그럴때는 너무도 부끄러워서 한동안은 아무말도 할수가 없을것 입니다. 왜요? 자신의 행동이 너무나 부끄럽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자신을 어떡게 생각할까 노심초사 하기도 합니다. 일단 상황은 전부다 벌어져있고 주워담을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이러한 상황이 된다면 일단은 그사람의 얼굴을 마주보는것도 쉽지가 않습니다. 왜요? 자신의 양심이 자신을 조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람은 양심의 동물이라고도 합니다.


그렇다면 부끄러운 행동은 어디서부터 나오는 것일까요? 그것을 알아야 자신이 부끄러운 행동을 하지않을것 이기 때문입니다. 부끄러운 행동의 시발점은 어떠한 행동은 하여서 자신이 이익을 취하고 싶은데서 출발합니다. 그렇게 이익을 취하고 싶은데 주위상황은 자신이 좋아지는것에 대하여 별로 좋은상황이 아닌것 같습니다.

 

그러면 자신은 약간의 무리수를 두거나 아니면 자신의 상황을 주위사람에게 우기기로 일관하여 자신이 이익을 취하게 됩니다. 그리고는 자신의 마음속에 혹은 다른사람이 듣는자리에서 자위섞인 한마디를 합니다. 즉,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속마음에서 다른사람이 이런상황을 몰라주기를 바랍니다. 다시정리를 한다면 자기가 좋아지기 위해서 현재의 주위상황에는 맞지않지만 우격다짐으로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드는 행동을 한다는 말입니다.


오늘도 부끄러운 행동을 하고계십니까? 그리고 그행동이 다른사람들이 몰라주기를 바라고 계시지는 않으십니까? 다른사람은 모르는것이 아니라 알면 당신이 난처해 할까봐 모른척 해준다고 생각해 보시면 자신의 부끄러운 행동은 일어나지 않을것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