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그림출처 : 조선일보

 

다른사람과의 대화법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위에 그림을 이야기 하고서 대화법에 대하여 이야기 하는것이 좋을것 같아서 위의 조선일보에 실렸던 그림을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남자가 밥상을 엎고서 여자에게 소리치는 그림이고, 여자는 억장인 무너진다는 표현을 심장이 깨지는 그림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이렇게 가부장적인 남성과 일방적으로 당하기만하는 여성의 그림을 넣어서 사람들에게 세뇌를 시키는 것입니다. 우연히 그림을 찾다가 한번 언론에서 어떤식으로 사람들을 세뇌시키는지 설명하기 좋은것 같아서 그림을 삽입해 보았습니다.
 
대화도 나름에 사람들을 세뇌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의 이야기와 오늘의 주제와는 연결이 됩니다. 그리고 다른사람과 대화를 할때에 절대로 하지말아야 하는말이 있습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이것해라. 저것해라."라고 명령조로 이야기 하는것을 해서는 안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이것을 하고서 책임지는 사람은 다름아닌 당사자이고, 저것을 하고나서 그것에 대하여 책임지는것도 다름아닌 당사자 이기 때문에 그옆에서 구경하는 사람이 "이것해라. 저것해라."라고 명령하면 안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이것해라. 저것해라."라고 옆에서 구경하는 사람이 명령하고나면, 구경하는 사람이 그문제에 대하여 책임져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옆에서 구경하는 사람은 그일의 당사자에게 "이것해라. 저것해라."라고 명령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저도 다른사람에게 명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위에서 말하였듯이 그일에 대하여 제가 책임질수 없다는것 잘알기 때문에 절대로 다른사람에게 명령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대화법이 올바른 대화법일까요? 그것은 바른길로 갈수있도록 유도하는 대화법이 좋은 대화법입니다. 다시말하면 "이것은 이러한 방향으로, 저것은 저런방향으로 하는것이 좋지않을까?"라고 이야기 하는것이 좋은 대화법입니다. 방향제시만 해놓으면 되는것입니다. 그러면 그일에 처해있는 당사자는 그방법이 올바르다고 판단되면 방향을 제시한 사람에게 "생각도 못했던 방법인데 이야기 해줘서 고맙다."라고 이야기 해주면 그것으로 끝나는 것입니다. 물론 그렇게 선택한 방법을 적용할지 적용하지 않을지도 전적으로 당사자가 결정하는것입니다.
 
제가 그런식으로 이야기 하였던 대표적인 사례가 있습니다. 직접적으로 대화는 하지않았지만 이글에서 소개를 하는것이 적절할것 같아서 소개를 드립니다. 그것은 제가 저의 동생차를 얻어타고 집앞에 왔습니다. 그리고 차에서 내렸고, 제동생은 차를몰고 집으로 갑니다. 그런데 동생차에 브레이크등 한쪽이 나가있었습니다. 그때 대표적으로 나쁜 대화법을 적용했다면 "니차 브레이크등 한쪽이 나갔네, 빨리 고쳐"라고 문자나 전화를 거는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확실한 명령조의 대화법입니다.
 
저요? 제동생에게 이렇게 문자를 보냈습니다. "자동차 브레이크등 한쪽이 나갔것 같은데 자동차 정비할일 있을때 그쪽도 손보는게 좋을것 같은데."라고 문자를 보내주었습니다. 한번 위의 문장과 아래의 문장을 비교해 보시면 어느쪽이 듣기가 좋은지 알수가 있으실 것입니다. 그래서 다른사람의 일에 대하여 자신이 책임질 자신이 없으면 위에서 이야기 하였듯이 방향제시형 대화를 하는것이 좋지않을까 싶습니다.

+ Recent posts